《메시아(Messiah)의 별》

예수님 탄생 시에 나타난 '메시아'의 별 = 토성(위)과 목성(아래)
예수님께서 탄생하실 때, 동방 박사들이 저 별을 보고 따라 왔습니다.
사진 중의 위의 별이 토성이고 아래의 별이 목성입니다.
사람의 눈으로 관찰할 수 있는 별입니다.
오른쪽은 달의 표면입니다.
2020.12.21(월)에
아마추어 사진 작가가 찍은 사진입니다.
---------------------------------------------------------------------------------------------
동방박사들이 보았다는 별은
일반인들이 누구나 쉽게 볼 수 있는 별은 아니었습니다.
전문가들이 연구해야만 알 수 있었던 별이었습니다.
그 근거가 성경에 있습니다.
마태복음2:2
유대인의 왕으로 나신 이가 어디 계시냐
우리가 동방에서 그의 별을 보고 그에게 경배하러 왔노라 하니,
사람들은 동방박사들이 이스라엘에 오기 전에는 이 사실을 몰랐습니다.
그 별은 혜성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혜성은 누구나 알 수 있는 별이기 때문입니다.
혜성은 메시야 탄생을 알리는 별이 아니고
행성들이 메시야 탄생을 알리는 별입니다.
창세기 1:14
하나님이 이르시되 하늘의 궁창에
광명체들이 있어 낮과 밤을 나뉘게 하고
그것들로 징조와 계절과 날과 해를 이루게 하라

컴퓨터 변환 프로그램

<개발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나타난
이스라엘 지역의 B.C 6년 5월 14일 해뜨기 전의 목성과 토성>입니다.
---------------------------------------------------------------------------------------------
하나님께서 해와 달과 별들을 만드신 이유의 첫 번째가 징조(Sign)입니다.
하나님께서 인간역사 속에서 어떤 중요한 사건을 일으키실 때
하늘의 별들로 하여금 징조를 보이셨습니다.
그 대표적 징조가 동방박사들이 보았다는 ‘메시야의 별’입니다.
‘우리 은하계’의 ‘태양계’에는 9개의 행성이 있는데
최근에 천문학계에서 명왕성을 제외시켰습니다.
목성은 행성 중에 가장 큰 별입니다.
영어 이름은 Jupiter이며
그리스 로마 신화에 나오는 ‘제우스’인데 신들의 왕입니다.
고대 왕들의 운명을 점칠 때 연구했던 별입니다.
토성은 Saturn인데 농부의 신이고 땅의 왕,
악한 왕을 상징하는 별입니다.
예수님께서 탄생하실 때
이 목성과 토성이 하늘에서 이상한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지구에서 바라 본 목성과 토성의 만남,
그것이 메시야의 탄생을 알리는 징조입니다.
12월 25일은 예수의 진짜 탄생일이 아닙니다.
12월 25일 예수님의 탄생은
유럽과 미국의 영향을 받은 국가의 사람들이 그렇게 알고 지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그리스, 그리고 이집트와 에티오피아의 콥트교회들은 1월 6-7일을,
아르메니아는 1월 28일을 예수 탄생일로 알고 지키고 있습니다.
이들 탄생일은 탄생 수백년 후에 추정해서 지키게 된 것입니다.
---------------------------------------------------------------------------------------------
요즘 우리들은 그레고리 양력 달력을 사용하는데
초대교회는 율리우스 달력을 사용했습니다.
4세기경 338년에
동지일 12월 25일을 예수의 탄생일로 정했다는 주장이 있는가하면
로마 사람들의 축제일이 12월 17-24일인데
23-24일에 선물을 교환하는 풍습이 있었고
12월 25일을 태양탄생일이라 여기고 축제일로 지키게 되었는데
그날과 결부시켜 예수님의 탄생일을 정하게 되었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예수님 탄생의 실제 년도는 지금부터 1481년 전 AD 532년에
그다지 정확하지 않은 자료에 근거해서 예수의 탄생일을 추정한 것인데
그 당시 예수님은 약 500년 전에 죽었으며
3월 25일에 부활했다는 기록에 의하여
500년에 죽었고 30년에 탄생했을 것이라고 추정하게 되었습니다.
---------------------------------------------------------------------------------------------
예수님의 탄생을 알아내는 중요한 인물이 있는데 바로 헤롯왕입니다.
그는 죽기 직전까지 대단한 인물이었습니다.
왕권에 대한 집착이 강해
주변에 왕권을 가질려는 사람들을 죽이기 시작했습니다.
죽이다가 떠오르는 사람이 있었는데 동방박사들이었습니다.
동방박사들이 온 이후 두 살 아래 아이들을 모두 죽였습니다.
학살 후 곧 헤롯왕은 죽었습니다.
헤롯왕이 죽은 년대의 역사 기록이 있습니다.
로마제국시대에 유대 역사를 정리한 요세푸스의 기록에 의하면
1, 헤롯왕이 죽을 때 월식과 금식일(Fast Day)이 있었다고 하는데
오늘 날 그것은 개발된 컴퓨터 자료로 찾아 낼 수 있습니다.
2, 시리아의 통치자 Quintilius Varus라는 사람이 통치할 때
(B.C.5-2) 헤롯이 죽었습니다.
3, Actium 해전(B.C. 32) 27년 후에 헤롯이 죽었습니다.
위와 같은 요세푸스 자료에 의하면
헤롯이 B.C. 4년에 죽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B.C. 4년에 월식 현상만 찾아내면 됩니다.
개발된 컴퓨터로 탐색하니 B.C. 4년 3월 11일에 월식이 있었습니다.
B.C. 4년에 헤롯이 죽었다면 예수님은 B.C. 6년에 태어나게 된 것입니다.
---------------------------------------------------------------------------------------------
초대교회 교부 Tertullianus의 기록에 의하면
시리아 Saturnius(B.C. 9-6)이 통치하던 때 예수님이 탄생했다고 합니다.
St. 클레멘트가 예수 탄생에 대한 기록 몇 가지를 모아 두었는데
이집트 달력으로 Pachom월 25일인데
이스라엘 달력으로 바꾸면 구약 달력 Lyar(2월) 28일입니다.
이스라엘은 음력 달력을 쓰는데
우리가 쓰는 태양력으로 바꾸면 5월 14일입니다.
이상하게도 이스라엘의 독립이 1948.5.14일 입니다.
5월 14일이 우연일까요?
클레멘트의 기록이 맞다면 예수님은 B.C. 6년 5월 14일에 탄생한 것입니다.
-------------------------------------------------------------------------------------------------------------
《"베들레헴의 별"(The star of Bethlehem)》
아래의 꽃들은
"베들레헴의 별"이라는 꽃들입니다.
동방박사들을 인도했던 별과 닮아서
베들레헴의 별 (학명 : 오니소갈룸<Ornithogalum>)이란 별명을 가진 꽃입니다.
추식 구근식물로 여러해살이 꽃입니다.
5월(예수 그리스도의 탄생 5월 14일)에 꽃이 피고,
노지에서 월동을 할 수 있습니다.

《"오니소갈룸 움벨라툼"(흰색)》
* 학명은 Ornithogalum ,백합과 구근식물이고,
* 꽃말은 청순. 일편단심이고,
* 유럽·아프리카·서아시아 원산이며 개화 기간이 깁니다.
가을에 심는 구근초이며, 봄에 개화합니다.
---------------------------------------------------------------------------------------------------------
마늘처럼 6월에 꽃이 지고 시들면 구근을 캐서 양파망에 넣어 두었다가
마늘 심을 때 처럼 10월에 노지 또는 화분에 심으면
이듬해 봄 5월에 꽃을 볼 수가 있습니다.
이 '베들레헴의 별'은
'오니소 갈룸' 중 흰색이며 유일하게 노지에서 겨울을 보낼 수 있습니다.


《농장 : 팔학골 농원》
주인 성명 : 이*철, 최*자
농장주 주소 : 32164 충남 태안군 태안읍 안면대로 2679-8
농장주 전화번호 : 최*자 : 010 5043 4870,
판매 가격 : 한셋트 1만원(위 사진)
예금기관/계좌번호/예금주(이*철) : 농협 121058 56 0030 58 이*철
택배회사명 / 택배비 / 부담자명기━ 우체국 4천원(구매자부담)

《"오니소갈룸 두비움"(주황색)》
이꽃은 '오니소 갈룸'의 변종이며 주황색입니다.
노지에서 월동이 불가합니다.

《"오니소갈룸 두비움"(노랑색)》
이 꽃도 오니소 갈룸의 변종이며 노란색입니다.
역시 노지에서 월동이 불가합니다.

《"오니소갈룸 실소이데스"》
이 꽃 역시 오니소 갈룸의 변종이며,
흰 꽃 중앙에 검은 열매같은 것이 있습니다.
역시 노지에서 월동이 불가합니다.
2023.1.5 새벽 0:25
이우길 집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