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떻게 이해하고 있느냐?』
(예수님의 질문)
----------------------------------------------------------------
<눅 10:25-37>
『 25 어떤 율법교사가 일어나서, 예수를 시험하여 말하였다.
"선생님, 내가 무엇을 해야 영생을 얻겠습니까?"
26 예수께서 그에게 말씀하셨다.
"율법에 무엇이라고 기록하였으며, 너는 그것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느냐?"
27 그가 대답하였다. "'네 마음을 다하고 네 목숨을 다하고 네 힘을 다하고
네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여라' 하였고,
또 '네 이웃을 네 몸같이 사랑하여라' 하였습니다." (신 6:5, 레 19:18)
28 예수께서 그에게 말씀하셨다.
"네 대답이 옳다. 그대로 행하여라. 그러면 살 것이다."
29 그런데 그 율법교사는 자기를 옳게 보이고 싶어서 예수께 말하였다.
"그러면, 내 이웃이 누구입니까?"
30 예수께서 응답하여 말씀하셨다.
"어떤 사람이 예루살렘에서 여리고로 내려가다가 강도들을 만났다.
강도들이 그 옷을 벗기고 때려서, 거의 죽게 된 채로 내버려 두고 갔다.
31 마침 어떤 제사장이 그 길로 내려가다가, 그 사람을 보고 피하여 지나갔다.
32 이와 같이, 레위 사람도 그 곳에 이르러서, 그 사람을 보고 피하여 지나갔다.
33 그러나 어떤 사마리아 사람은 길을 가다가, 그 사람이 있는 곳에 이르러,
그를 보고 측은한 마음이 들어서,
34 가까이 가서, 그 상처에 올리브 기름과 포도주를 붓고 싸맨 다음에,
자기 짐승에 태워서, 여관으로 데리고 가서 돌보아 주었다.
35 다음날 그는 두 데나리온을 꺼내어서, 여관 주인에게 주고, 말하기를
'이 사람을 돌보아 주십시오. 비용이 더 들면, 내가 돌아오는 길에 갚겠습니다' 하였다.
36 너는 이 세 사람 가운데서, 누가 강도 만난 사람에게 이웃이 되어 주었다고 생각하느냐?"
37 그가 대답하였다. "그에게 자비를 베푼 사람입니다." 예수께서 그에게 말씀하셨다.
"가서, 너도 그와 같이 하여라."』
----------------------------------------------------------------
율법사의 질문 : 『 내가 무엇을 해야 영생을 얻겠습니까? 』
질문 속에 영생(구원) 얻는 것을 행위에 두고 있습니다.
예수님의 대답과 질문 : 『 율법에 무엇이라고 기록하였으며,
너는 그것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느냐? 』
성경(구약)에 능통한 율법사는
『네 마음을 다하고 네 목숨을 다하고 네 힘을 다하고
네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여라'』 하였고,
또 『네 이웃을 네 몸같이 사랑하여라' 하였습니다."』 라고 말했습니다.
『네 대답이 옳다. 그대로 행하여라. 그러면 살 것이다.』
예수님도 『그대로 행하여라』 했으니 구원 얻는 것을 행위에 두고 있는 것일까요?
아닙니다. 율법을 온전히 행할 인생이 없다는 것의 반어법입니다.
그리고
그 율법교사는 자기를 옳게 보이고 싶어서 예수님께 말하였습니다.
『그러면, 내 이웃이 누구입니까? 』
율법교사는 자기가 잘 보이고, 훌륭한 사람임을 자랑하고 싶어서, 자기 이웃이 누구냐고 물었지만
예수님은 강도 만난 사람을 예로 들어 설명하시면서
너의 이웃이 누구라고 대답하시지 않고,
『강도 만난 사람의 이웃이 누구라고 생각하느냐?』고 물으셨습니다.
심지어는 율법교사도 강도 만난 사람으로 여기셨습니다.
그 당시 여리고는 제사장들이 12,000명이 살고 있었던 종교의 도시였습니다.
그리고 예루살렘까지는 22Km 떨어진 비탈길의 우범지대였습니다.
여리고에서 예루살렘까지의 길과
사마리아인이 강도만난 사람을 나귀에 태워 데려다 주었다는 여관을 영상으로 소개합니다.
영상 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Eh5WyUtNvTE&index=11&list=PLQar9fCXfe9q35--xfFfMN0Nlgy2Ja-m0


예수님의 질문에 율법교사는 제사장, 레위 사람, 사마리아 사람 중에
강도 만난 사람에게 이웃은 자비를 베푼 사마리아 사람이라고 대답했습니다.
제사장과 레위인들이 그냥 지나갔는데
강도 만난 사람들을 구해주다가 자기들에게 강도들이 덮치는 위험도 있으며,
죽은 시체를 만지지 않는 종교적 명분도 있기에
그들을 무턱대고 나쁜 사람으로 몰아가는 것은 문제가 있습니다.
----------------------------------------------------------------
사마리아인은 누구입니까?
그들도 이스라엘 사람들이었는데
침략자 앗수르에 의한 민족 말살 정책으로 혼혈족이 된 사람들이었습니다.
정통 유대인들은 사마리아인들과 상종하지 아니했습니다.
예수님은 누가 강도 만난 자의 이웃이냐? 고 물으십니다.
우리는 어떤 면에서 이 세상에서 강도 만난 자들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윱법교사도 강도 만난 사람으로 여기셨습니다.
왜냐하면
윱법교사의 대답이 강도 만난 사람의 이웃은 자비를 베푼 사마리아 사람이라고 했으며,
너도 그같이 행하라 하셨기 때문입니다.
사마리아 사람은 강도 만난 사람을 응급 처치하여
자기 나귀에 태워 여관에 데려가 함께 지냈으며
이튿날 이틀의 품삯에 해당하는 치료비를 여관 주인에게 지불했으며
모자라면 돌아 오는 길에 갚겠다고 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강도 만난 우리들을 구해 주시기 위해 이 땅에 오셨습니다.
우리 강도 만난 사람들은 서로 돌봐 주어야 합니다.
비용이 더 들면 돌아 올 때 값을 지불하시겠다고 하셨습니다.
주님이 재림하실 때 우리들에게 더 좋은 것으로 보상하겠다고 하셨습니다.
우리들은 강도 만난 자들의 이웃이 되어야 합니다.
기독교인들은 두 종류가 있습니다.
1. 구원받기 위해 의(義)를 행하는 사람과
2. 구원받았기에 의(義)를 행하는 사람들입니다.
우리는 분명 구원 받았기에 의를 행하는 사람들입니다.
강도 만난 사람들을 도와주어야 합니다.
----------------------------------------------------------------
2019.8.20. 오전 11:21
이우길 집사